■ 목적 및 배경
▪ 기후 및 환경변화의 현상파악 및 대응책 마련
- 급격한 기후변화와 환경 변화로 인류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증가
- 과학적 자료수집과 현상 파악, 원인 규명 연구는 미래 예측과 정책결정에 필수적
- 대기, 지표-지하수, 토양, 지질, 해양 환경의 현상파악 및 변화양상에 대한 권역별 연구 및 분야간 융합연구 수행 필요
▪ 에너지 전환 시대에 따른 신재생에너지원 및 관련 광물자원 탐색 요구
- 전통적 화석연료로부터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으로의 전환은 국가적으로 시급한 당면과제
- 에너지전환의 기술적 발전을 뒷받침하는 금속자원 수요의 급등
- 사회지리적 요인과 연관된 신에너지자원의 국내 탐사에 대한 배경연구 필요
▪ 자연재해 예측 및 대응
- 기후변화에 의한 극한기후현상의 빈도 증가, 생명 및 재산피해 발생
- 지진 발생 빈도나 발생지역의 확대에 따라 지질재해에 대한 국민적 불안도가 높아짐
- 자연재해에 대한 총체적 이해와 예측을 통한 대응책 마련 필요
▪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분야 후속연구인력 양성
- 학부-대학원의 교육과정을 재정비하여 교육과 연구의 연계 필요
- 원격탐사, AI, 빅데이터, 모델링 등의 최신 기술분야의 적극적 도입으로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인재 양성
■ 사업 내용
▪ 기후 및 환경변화 현상파악 및 원인 규명
- 전북지역 대기, 토양, 지표-지하수 등 환경변수 관측자료 수집
- 환경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, 시계열분석 및 환경변수 변화양상 파악
- 해석자료에 기반한 모델링 등을 통한 환경변화 원인 규명
▪ 신재생에너지 자원 탐사 및 관련기술 연구
- 신재생에너지원(예: 태양광, 풍력, 해양 등)의 지리적 분포 및 평가를 위한 원격탐사
- 자연수소, 희소금속 등 미래자원의 지질학적 성인 연구와 잠재적 자원평가
▪ 자연재해의 현상 파악과 미래 발생양상 예측
- 기후변수의 자연변동성 이해와 극한기후현상의 발생양상, 빈도 등 분석
- 지구조에 기반한 지질재해의 원인 파악과 고위험지역 식별, 향후 발생 가능성 평가
- 정책결정, 재해 대응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
▪ 후속연구인력 양성
- 기후-환경-지질을 결합한 융합형 교육과정 설계
- 원격탐사, AI, 빅데이터, 모델링 등 최신 기술 교육 및 전문가 특강 실시
- 학생들의 국제학회 및 대외협력 프로그램 참여 지원